구분 | Jenkins | GitHub Actions(깃헙) |
설정/초기구축 | 직접 인프라(서버) 구축 필요 (온프레미스/클라우드) | 별도 서버 필요 없음 (깃헙 저장소만 있으면 즉시 사용) |
실행환경 | 커스텀 자유도 높음 (로컬서버/클라우드서버, 사내망 등) | 깃헙이 제공하는 runner(공용/셀프호스팅 가능) |
플러그인 | 플러그인 매우 풍부, 복잡한 파이프라인, 대시보드 등 | Github Actions Marketplace에 워크플로우 풍부 |
권한/통합 | 사내 인프라와 자유로운 통합 (사내DB, 프록시, VPN 등) | 외부 SaaS로, 사내망 연결이나 DB 연동은 추가 작업 필요 |
실행 트리거 | 코드푸시/스케줄/수동/웹훅 등 매우 자유로움 | 푸시/PR/이슈/스케줄 등, 대부분 자동화 트리거 지원 |
결과 알림 | Slack, 이메일, 카카오워크 등 자유롭게 연동 | 기본적으로 깃헙 알림, 필요시 슬랙/이메일 등 연동 |
시각화 | 빌드/테스트 현황 대시보드, Job 모니터링 우수 | 깃헙 PR 등에서 바로 확인, 대시보드(외부툴 필요) |
유지보수/업데이트 | 직접 관리(보안패치, 백업 등 신경써야 함) | 깃헙에서 모두 관리, 따로 신경 쓸 일 없음 |
비용 | 자체서버: 서버비용/관리비용 발생 | public repo: 무료, private repo: 일정 런타임까지 무료 |
오픈소스/공개성 | 사내/외부 모두 가능 | 깃헙 저장소 있어야 사용, 오픈소스 협업에 특히 강점 |
실제 QA 자동화 활용시
- Jenkins 추천 상황
- 사내 네트워크, 보안망, 내부 QA DB, 비공개 인프라 활용 필요
- 대규모·복잡한 파이프라인, 다양한 도구 연동(예: 배포 자동화, 이메일/SMS 등)
- QA팀 독립적 서버 운영/커스텀 관리 원할 때
- GitHub Actions 추천 상황
- 코드형 자동화, CI/CD를 빠르게 도입하고 싶을 때
- 서버 구축, 인프라 관리 없이 간단하게 테스트 자동화 파이프라인 구현 원할 때
- 오픈소스, 작은 조직, 외부 협업에 적합
정리/추천
- 사내 시스템·보안/복잡한 배포 통합 필요 → Jenkins
- 빠르고 간편한 자동화, 코드 푸시 기반 QA, 서버 없는 환경 → GitHub Actions
실무 QA에서는 두 가지를 모두 쓰거나, 아래와 같이 혼합운영하는 팀도 많음.
- ‘정식배포/정기테스트=Jenkins’,
- ‘PR/개인 개발테스트=GitHub Actions’**
반응형
'Web.IT.Mobile > QA 자동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Playwright 공부에 도움이 되는 영상 (1) | 2025.08.03 |
---|---|
Playwright 엘리먼트 값 추출 주요 방법 (2) | 2025.08.03 |
목적별 Appium 코드 생성에 유리한 AI 모델 (3) | 2025.07.27 |
Appium + AI 연동 시 가능한 작업 (3) | 2025.07.27 |
QA 자동화 분업화 전략 (2) | 2025.07.27 |
Appium 애피움 (모바일앱 테스트 자동화) (0) | 2025.07.27 |
Gradio (2) | 2025.07.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