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텍스트 내용 추출 (Text Content):
- locator.innerText(): 엘리먼트가 사용자에게 보이는 텍스트만 추출합니다. HTML 태그가 없는 순수 텍스트를 가져올 때 유용합니다.
- locator.textContent(): 엘리먼트 내부의 모든 텍스트 콘텐츠(숨겨진 텍스트 포함)를 추출합니다. 이 메서드는 <script>나 <style> 태그의 내용도 포함할 수 있습니다.
- 속성 값 추출 (Attribute Value):
- locator.getAttribute(): 엘리먼트의 특정 속성 값(예: href, class, id 등)을 추출할 때 사용합니다.
- 입력 필드 값 추출 (Input Value):
- locator.inputValue(): <input>, <textarea>, <select> 엘리먼트의 현재 값을 추출하는 데 특화된 메서드입니다.
- 일반적인 값 평가 (General Evaluation):
- page.evaluate(): 브라우저 컨텍스트 내에서 JavaScript 코드를 실행하여 DOM 엘리먼트의 속성이나 값을 더 유연하게 추출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참고할 만한 사이트:
- Playwright 공식 문서: 엘리먼트 로케이터(Locators)에 대한 포괄적인 가이드를 제공합니다. CSS, XPath, 텍스트 기반 로케이터 등 다양한 선택자 사용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 Better Stack Community: getAttribute() 및 inputValue()와 같은 메서드에 대한 구체적인 예제와 함께 자세한 설명을 제공합니다.
- Codekru: innerText()와 textContent()의 차이점을 명확하게 설명하고, 각 메서드를 언제 사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지침을 제공합니다.
- Stack Overflow: Playwright로 엘리먼트의 속성 값을 가져오는 방법 등 특정 질문에 대한 실제 코드 예제를 찾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
'Web.IT.Mobile > QA 자동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Playwright 공부에 도움이 되는 영상 (0) | 2025.08.03 |
---|---|
목적별 Appium 코드 생성에 유리한 AI 모델 (2) | 2025.07.27 |
Appium + AI 연동 시 가능한 작업 (2) | 2025.07.27 |
QA 자동화 분업화 전략 (2) | 2025.07.27 |
Appium 애피움 (모바일앱 테스트 자동화) (0) | 2025.07.27 |
Gradio (2) | 2025.07.27 |
Streamlit vs Gradio (0) | 2025.07.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