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AI를 활용한 바이브 코딩을 하다보면 여러 생각이 든다.
AI가 진짜 코딩을 잘하는구나, 비개발자들도 뭘 만들어내기 쉬운 세상이 왔다.
개발자들보다 프롬프트를 잘 작성해서 결과물을 빠르게 출력할 수 있는 비개발자들이 인정받을 수 있을 수도 있겠다.
하지만, 실제 바이브 코딩으로 무언가를 만든 뒤, 유지보수 이슈를 경험하고 나면 그렇지도 않다는걸 느끼게 된다.
소스 상 어딘가 잘못된 부분이 있을 때, 실제 내가 짠 코드가 아니기 때문에 디버깅이 어렵다.
전체 소스를 AI에 던지고 디버깅을 요청해야 한다. AI의 말을 믿고 수정했지만 원하는 결과물이 나오지 않을 수도 있고, 오히려 잘 돌아가던 프로그램이 이상하게 망가져버리기도 한다.
결국 디버깅 역시 '바이브'에 의존하게 된다. 이는 결국 바이브 코딩으로 대규모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것은 엄청난 리스크를 감수해야 한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개발자가 없어도 되겠는데? 싶다가도 역시 개발자가 있어야 한다는 결론으로 마무리된다.
바이브 코딩으로 만든 서비스들을 과연 믿고 쓸수가 있을까? 믿고 릴리즈 해도 되는걸까? 너무 리스크가 커보인다.
AI가 특정 함수의 문제를 지적하더라도 사용자가 전체적인 흐름과 쓰임새를 파악하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실제 문제가 발생한 부분만 찾아서 수정하더라도 다른 부분에서 에러가 발생하기도 하고, 또 AI가 매번 정답만을 알려주진 않아서 오히려 디버깅 삽질로 시간을 낭비하게 될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이브코딩은 비개발자들에게 무언가 해보고 만들어볼 수 있게끔 도와주는 엄청난 도구임은 분명하다.
나 역시도, 구글스프레드 시트에서 간단하지만 반복작업이 필요한 것들을 구글앱스스크립트로 생성하여 자동화 처리를 하다보니, 이제, 작업내용을 생각해서 필요한 경우 그때그때 스크립트를 AI의 도움을 받아 생성해서 사용중인데, 만족도가 꽤 높다.
그리고 실제로 회의가 끝난 뒤, 자동으로 스크립트로 변환해주고 이를 다시 회의록으로 보기쉽게 정리해주는 부분들은 실제 사람이 하는 것보다 나은 퀄리티를 만들어주고 있는 것 같다. 이건 일반적인 회의 뿐만 아니라 면접 과정에도 사람이 직접 면접자의 답변을 타이핑하는 수고를 덜어줄 수 있어보인다. 거에는 면접관 중 한 명이 스크립터 역할을 하기도 했는데...
이뿐만 아니라 개발 지식을 공부할 때도 AI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과거에는 유튜브 강의를 찾거나 구글링을 통해 필요한 정보를 직접 선별해야 했지만, 이제는 AI에게 물어보면 학습 가이드를 매우 잘 제공해 준다. 이 덕분에 개발 공부의 진입장벽이 전보다 낮아졌다고 느낀다. 게다가 개발 관련 서적의 필요성도 줄어들고 있다. 책이 서점에 걸리기까지의 시간 동안 AI는 또 얼마나 발전하고 최신 기술이 업데이트될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서점에서 책을 구입하는 시점에는 이미 최신 정보가 아닐 가능성이 크다. 적어도 AI와 바이브 코딩의 영역에서는 말이다.
AI를 통해 바이브코딩으로 무언가를 만드는데 재미를 느꼈다면, 좀 더 앞으로 나아가기 위한 개발지식 역시 AI를 통해서 학습하기가 편해진거다. 물론 본인 스스로가 얼마나 시간을 투자하느냐도 매우 중요한 문제다.
AI를 통한 바이브코딩으로 뭔가를 만들어내는게 쉬워보이지만 또 막상 해보면 그렇지 않거든.
마치 기획자가 기획서에 기능명세를 상세히 정리한것 처럼, 원하는 결과물을 만들기 위해선 기획서와 같은 프롬프트 명령어를 주지 않는 이상, 결과물의 완성도가 크게 차이가 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왜 회사에 기획자와 개발자가 나뉘어 존재하는지를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한다.
결과물에 대한 탐구와, 원하는 결과물을 도출하기 위해 내가 어떤 정보와 명령어들을 줘야할지, 그 조합을 잘 찾아내는 것도 능력일 것이다. 이건 직군의 벽을 허무는데도 어느정도 기여를 할 것이라 생각을 한다. 이미 AI를 쓰는 사람들에게 간단한 이미지 생성은 디자이너 없이도 가능해졌다.
이렇게 AI의 발전속도가 빨라서, 사실 이런 위험성들도 어느순간 우리생각 이상으로 보완이 되어있을 수도 아니면 생각보다 또 그렇게 되지 않을 수도 있을 듯 한데 AI핵심 개발자들이 엄청난 연봉을 받고 일하는걸 생각하면 어떤 미래가 올지 가늠이 안된다.
IT업계의 혁명은 과거 아이폰에서 메타버스로 이어지나 싶었는데, 알고봤더니 AI 였더라.
아니... gpt가 나오는데 그렇게 오래 걸렸는데, 일단 나온 뒤로는 홍수처럼 쏟아진다는 것도 놀랍다.
그리고 중국의 개발력도 신기하다.
아래는 꽤 잼있게 읽은 관련 기사들을 링크 걸어봄.
바이브 코드는 레거시 코드임 | GeekNews
바이브 코딩은 AI의 도움으로 코드를 직관에 따라 빠르게 작성하는 방식으로, 결국 이해하지 못하는 코드, 즉 레거시 코드를 남기게 됨레거시 코드는 누구도 이해하지 못하는 코드로, 기술 부채
news.hada.io
‘바이브 코딩’이 신입 개발자의 핵심 역량이 된 이유 | 요즘IT
“경력이 없어 취업이 안 되고, 취업을 못 하니 경력이 없다.” 얼마 전부터 조금씩 들려오던 이 말이 결국 IT 업계의 부정할 수 없는 현실이 되어버렸습니다. 과거 신입들이 주로 맡던 단순하고
yozm.wishket.com
'Web.IT.Mobi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tGPT 4o - Google Apps Script (GAS) 생성기 (0) | 2024.11.06 |
---|---|
지라 오토메이션 Jira Automation - JQL 결과 {{lookupIssues}} 를 슬랙(Slack) 알림으로 받기 (0) | 2024.02.19 |
카카오 데이터센터 화재로 블로그 유입이 사라짐 ㅋ (0) | 2022.10.19 |
QA 관련 참고 게시물 (0) | 2022.06.03 |
QA 업무에서 JIRA (지라) vs Mantis (맨티스) (0) | 2022.04.03 |
올바른 글쓰기, 테크니컬 라이팅에 도움이 되는 글 모음 (0) | 2022.01.07 |
포스트모텀/회고 툴 추천 (Postmortem/Retrospective Tool) (0) | 2022.01.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