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Web.IT.Mobile67

Software Testing& Quality Report (소프트웨어 테스팅 & 품질 리포트) - 3RD EDITION by Testrail 테스트레일 QA 테스트도구인 테스트레일(Testrail)에서 나온 테스트관련 동향에 대한 리포트 문서가 있어 공유해본다. 2023년까지의 자료를 기반으로 한 보고서라, 꽤 최신 트렌드를 반영한다고 볼 수 있어보인다. 아래 링크로 들어가면 바로 pdf문서를 볼 수도 있고, 아래 다운받을 수 있게 파일첨부도 해두었다. https://content.testrail.com/hubfs/Downloadables/Third_Edition_Software_Testing_&_Quality_Report.pdf 원문한글 번역본 문서에서 알 수 있는 내용을 조금 발췌해왔다. 내용을 훌어보면 많은 QA 종사자들이 비슷한 고민들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수가 있다. 과연 다른 QA들도 나와 같은 고민을 하고 있을까? 우리 조직과 같은 생각을 .. 2024. 5. 23.
지라 오토메이션 Jira Automation - JQL 결과 {{lookupIssues}} 를 슬랙(Slack) 알림으로 받기 화면 설명 규칙 빌더 > When: 트리거 추가 -> 예약됨 선택 기본 - 알림 수신하고 싶은 횟수/기간/요일/시간 을 지정해준다 고급 - 원하는 요일만, 특정 주기로 알림을 수신하고 싶은 경우에 설정한다. - CRON 표현식 으로 입력 예) 매주 월-금요일, 오전 9시에 발송 하고 싶을 때 -> 0 00 09 ? * MON-FRI 규칙 빌더 > When: 트리거 추가 > Then: 작업 추가 -> 이슈 조회 선택 이슈 조회 JQL : 알림으로 받고 싶은 지라이슈 검색을 위한 JQL 구문을 넣어준다. 입력 후 "쿼리 확인"을 선택하면, 해당 검색을 통한 이슈 갯수가 몇개인지 보여준다. 해당 쿼리의 결과가 {{lookupIssues}} 에 입력되어 사용될 것이다. 규칙 빌더 > When: 트리거 추가 > .. 2024. 2. 19.
카카오 데이터센터 화재로 블로그 유입이 사라짐 ㅋ 10.15 에 발생했던 카카오 데이터센터 화재로 티스토리도 먹통이 됬었다. 덕분에 화재기간 동안 블로그유입은 당연히 0 이 되었고, 블로그 진입이 정상화 되는데 이틀정도 걸린 것 같다. 하지만 전일 방문자수가 줄어든 것이 검색노출에 영향을 주는것인지, 아니면 티스토리 게시물이 검색결과 노출에 걸리지 않는 것인지 아직 잘 모르겠는데 유입량이 거의 사라졌다. ㅋ 티스토리 공지를 확인해보니, 아직 복구가 완전히 되진 않은 듯... 화재발생 4일이 지난 시점에... 안타깝 하도 장애가 길어져서 블로그 게시물들 날라가는건 아닌가 싶었는데 그건 다행히 아니었고... 이번 카카오 화재로 우리나라의 대부분의 큰 IT기업의 직원들 사이에 주요 화재가 됬을 것 같다. 물론 카카오서비스로 밥벌이를 하는 사람들은 또 다르겠지.. 2022. 10. 19.
QA 관련 참고 게시물 읽어보면 좋을만한 글들이 있어.. 스크랩 용으로 담아옴.. LINE의 QA는 어떻게 일할까? - LINE ENGINEERING 안녕하세요. 저는 LINE에서 서비스 QA로 근무하고 있는 김동성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LINE에서 근무하는 QA가 어떤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어떤 목표를 세우고 어떻게 일하고 있는지에 대해서 이 engineering.linecorp.com 초보 기획자 혹은 PM을 위한 QA 가이드 | 요즘IT 프로덕트 팀에 합류 후, 가장 먼저 한 일 중 하나는 QA를 위한 Test Case 도입이었다. 그러나 이직 후 합류한 조직에서는 개발자, 디자이너 분들이 있었음에도 별다른 QA 시스템이 없었다. 이에 팀 합 yozm.wishket.com 아기자기한 프로덕트 팀의 Test Case 도입.. 2022. 6. 3.
QA 업무에서 JIRA (지라) vs Mantis (맨티스) 회사에서 QA BTS(bug tracking tool, 버그관리툴) 로 JIRA (지라) 를 사용하고 있다. 이전 회사에서 기능도 간단하고 적응하기도 편하다고 생각했던 Mantis (맨티스) 를 사용하다가 최근에 JIRA (지라) 를 사용하면서 한동안 적응하느라 좀 고생했는데, 이제는 조금 지라에 적응이 된 것 같다. 요즘 QA에 있어선 대부분의 큰 회사들이 사용하는 툴이 지라이다 보니, 이전회사에선 좀 대세를 쫒아가지 못한다는 느낌이 있었다. 하지만 지라를 업무에서 사용해본 적이 없다보니, 지라를 써야겠다는 강한 의지가 없었고 (딱히 맨티스가 불편하지도 않았다)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무료인 맨티스와 유료인 지라의 유지비용 차이가 많다보니 써볼 생각을 아예 안했었다. 우선 간단히 내 생각을 말하자면, 작은.. 2022. 4. 3.
올바른 글쓰기, 테크니컬 라이팅에 도움이 되는 글 모음 웹서핑을 하면서, 글쓰기를 할 때 참고하면 좋을만한 글을을 모아두려고 한다. 나의 안좋은 습관 중 하나는, 계속 쓰고 고치는 것...;; 당췌 한번에 좋은 문장이 안나온다. 키보드 오타도 자꾸 나오고, 아래와 같은 글들에서 지적하는 오류가 잘 수정이 안되니, 쓰고 읽고 고치고가 반복된다는 것. 그리하여, 글쓰기에 도움이 되는 글들을 내것으로 잘 만들고 싶은 마음에, 이렇게 모아두기려도 하련다. 2022. 1. 7.
포스트모텀/회고 툴 추천 (Postmortem/Retrospective Tool) RETRO.TOOLS (레트로 툴즈) https://retro.tools/ 회원 가입 필요 없다. 무료 작성자 이름을 입력할 수 있고, 익명으로도 쓸 수 있다. 각 항목에 대해 ↑를 클릭하면, 투표를 할 수 있다. 본인이 쓴 카드는 삭제 가능하다. 각 항목에 이모티콘으로 감정표현이 가능하다. 포스트모텀(회고) 정리에 필요한 딱 그만큼의 기능만 있다. 빠르고, 간단하고, 편하다. 화면 우측에 메뉴를 눌러서 "투표수로 정렬하기"를 선택해주면, 투표가 많은 카드순으로 정렬된다. "CSV 다운로드" 는 동작은 하지만, 한글이 깨진다. (최대 단점) 더 설명할 기능이 없다... ㅋ 회고를 위한 문서나 위키를 정리하기 귀찮은 자들이여... 이 툴을 써보시길... 간단히 회고를 생성하고, 링크를 협업자들에게 공유하고.. 2022. 1. 6.
반응형